google-site-verification=SpTgewHq962pXzEyV4Mf4r6f6X_bIFNsQ5eOScoRWBA 쌍화탕 효능
본문 바로가기
건강

쌍화탕 효능

by upiter67 2024. 1. 9.
반응형

 
정의
 
기와 혈을 조화롭게 하여 피로 회복에 도움을 주는 처방. 쌍화산.
내용
 

『동의보감』 잡병편(雜病篇) 허로(虛勞)의 항에 기술되어 있고,

또 『의문보감(醫門寶鑑)』 권2 허손편(虛損篇)에 전재되어 있다.

그 밖의 의서에 기재된 쌍화탕은 『동의보감』에서 다시 발췌하여 인용된 것 같다.

쌍화탕은 동양의 여러 나라 중 우리나라에서만 빛을 보고 있으며,

요즈음에는 마치 민족 고유의 처방인 양 발전되어왔다.

역사적으로 보면 조선 후기의 양반들은 보약으로서

조석으로 쌍화탕을 마셨다고 하며 지금도 애용자가 많은 것 같다.

처방은 비교적 간단한데, 군약(君藥)은 백작약(白芍藥) 9.0∼10.0g,

신약(臣藥)은 황기(黃芪)·천궁(川芎)·숙지황(熟地黃) 각 4.0g,

계피(桂皮)·감초(甘草) 각 3.0g, 강(薑) 3, 조(棗) 2이다.

주로 쓰이는 곳은 심력(心力) 이 피로하고 기(氣)와 혈(血)이 모두 손상되었거나

또는 방사(房事)한 뒤에 노역(勞役)하고 노역한 뒤 방사하는 증(症) 등이며

큰 병을 앓고 난 뒤에 허로(虛勞)하고 기가 모자라며 땀이 나는 경우도 효험이 있다.

쌍화산(雙和散)이라고도 하며 황기건중탕(黃芪建中湯)에

사물탕(四物湯)을 합쳐 처방을 만든 것이다.

제방(諸方)에는 대병후(大病後)의 기(氣)가 모자랄 때 가장 효과적이라 하였다.

처방의 조성(組成)으로 보아 쌍화탕은 감기약이 아니며,

성교 전이나 성교 후에 피로가 겹칠 때 이상적인 약이라 생각된다.

접기/펼치기참고문헌
『의문보감(醫門寶鑑)』
『동의보감(東醫寶鑑)』
『현대방약합편(現代方藥合編)』(육창수, 계축문화사, 1976)

 

 

[출전: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