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SpTgewHq962pXzEyV4Mf4r6f6X_bIFNsQ5eOScoRWBA 'Essay' 카테고리의 글 목록 (3 Page)
본문 바로가기
  • 인생사

Essay79

시상하부 시상하부 시상의 아래에서 뇌하수체로 이어지는 부분 시신경교차에서 유두체이 이르는 사이 제3 뇌실의 주위 하반부 간뇌의 복부부분에서 유래 아몬드 크기 무수한 신경세포와 신경섬유가 복잡하게 얽혀 있다 뇌하수체를 경유하여 신경계와 내분비계를 연결하는 기능 대사과정과 자율신경계의 활동을 관장 신경호르몬 합성하여 뇌하수체 호르몬의 분비에 영향 준다 체온, 배고픔, 갈증, 피로, 수면 그리고 일주기 생체 리듬을 조절 뇌 전체 질량의 1%에 불과하나 신체의 생리작용에 커다란 영향 준다 자율신경을 조절 모든 내장활성과 몇 가지 몸기능을 조절하는 겉질아래중추 앞시상하부는 부교감신경을 흥분시키고 뒤시상하부는 교감신경을 흥분시킨다 뇌하수체 조절 뇌하수체 호르몬은 시상하부에서 합성되고 뇌하수체 전엽의 호르몬 생성은 시상하부에.. 2023. 12. 14.
솔방울샘 솔방울샘 솔방울샘은 송과선 작은 솔방울과 비슷하게 생김 뇌 속의 작은 내분비기관 시상하부에 있는 시신경교차상핵의 지배를 받아 멜라토닌을 만들고 분비한다. 멜라토닌은 빛에 노출되면 분비가 억제되기 때문에 낮에는 적게 분비되고, 밤에는 많이 분비된다 멜라토닌은 사람의 생체 리듬 유지에 중요한 역할 낮이 되면 일어나고, 밤에는 졸리고 체온이 떨어지는 등의 변화에 영향을 준다 깨어나고 잠을 자게 하고, 계절마다 육체를 조정해주는 세로토닌 유도, 멜라토닌 생성하고 분비 대뇌 밑, 셋째 뇌실 뒷부분, 간뇌의 시상 상부에 위치 지름 12mm , 무게 약 100mg 소아에서는 보다 크고, 사춘기 이후 작아진다 철학자 데카르트는 송과선을 육체와 정신이 만나는 점이라고 생각했다 2023. 12. 14.
갑상샘 갑상샘 목 앞 중앙에 위치한 나비 모양의 내분비기관으로 내분비 기관 중 가장 크다 thyroid는 '방패'라는 뜻 한 쪽 날개의 크기는 넓이 1~2cm, 두께 2~3cm, 무게 12~20g 목 피부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그 뒤로는 후두와 기관이 자리 잡고 있다 근육으로 둘러싸여 있어서 겉으로 봐서는 볼 수 없고 거의 만져지지 않는다 크기와 형태가 다양한 여러 개의 소엽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의 소엽은 20~40개의 여포로 이루어져 있다 갑상샘 호르몬과 칼시토닌을 생성,분비 갑상샘 호르몬은 체온 유지와 신체 대사의 균형을 유지 여러가지 대사를 섬세하게 조절하여 에너지가 제대로 쓰이게 한다 심장의 박동을 증가시키고 스트레스에 적절하게 대응하게 한다 적혈구 생성도 늘려 충분한 산소 공급을 이루어지게 한다 근육.. 2023. 12. 14.
부갑상샘 부갑상샘 갑상샘 뒤, 부갑상샘 호르몬을 만드는 내분비기관 좌, 우 갑상샘 아래 위로 한 개씩 총 4개 부갑상샘 하나의 길이는 5~9mm, 너비는 3~5mm, 두께 1~2mm, 무게는 25~40mg 노란색 쌀알 모양 남자는 120mg, 여자는 142mg 피속의 칼슘 이온의 양을 조절한다 위장관, 콩팥에서 칼슘 흡수를 증가시키고, 인의 재흡수를 억제 혈중 칼슘 수치를 상승시키고, 인산염의 농도를 감소시킨다 결과적으로 혈중 칼슘 농도를 증가시킨다 비타민D의 전환을 증가시킨다 부갑상샘 호르몬 분비가 지나치면 골다공증과 다른 조직의 석회화가 증가된다 2023. 12. 13.
혈액 혈액 현관을 통해 온몸을 돌며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해주고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회수한다 胚의 시기에는 간 출생 이후에는 비장이나 골수에서 혈액이 생성된다 오래 된 혈구는 비장, 간,또는 골수에서 파괴된다 백혈구는 胚의 시기에는 간, 비장, 골수에서 만들어져 비장에서 파괴된다 호르몬의 운반, 외부 병원체에 대한 방어, 체온 조절 담당 체중의 약 8% 차지하며 성인은 대략 4~6리터 여성은 38%, 남성은 46% 정도 90% 이상이 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백질, 지방, 당, 무기 염류 등이 녹아 있다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염화물 등의 염류와 알부민, 피브리노겐, 면역글로불린 등의 단백질 면역 글로불리은 알파,베타, 감마가 있으며 알파와 베타는 간에서 합성 감마는 림프계통에서 합성된다 55%를 차.. 2023. 12. 13.
림프관 림프관 림프액이 흐르는 관 림프구가 함유된 림프액이 이동하는 통로 피부나 점막 하층의 성긴 결합조직에서 액체와 물질을 혈관계로 수송하는 한쪽 방향이 막힌 투명한 관 조직에서 혈관쪽 한 방향으로만 흐른다 림프관은 모세혈관보다 투과성이 더 높아 항원과 세포를 포함한 거대분자를 모세혈관보다 더 쉽게 흡수한다 깊은목 림프관 오른 림프관 빗장밑 림프관 가슴 림프관 얕은 림프관 깊은 림프관 흉강 내에서 흉관 및 좌림프관으로 모이고 다시 정맥혈관 내로 주입되어 혈류의 일부를 이룬다 전신에 분포하며 림프절을 서로 그물처럼 연결한다 림프관의 벽은 내피세포와 민무늬근, 고유막의 3층 내부에 판막구조가 있어 역류가 방지된다 2023. 12. 13.
반응형